국어 교육 강조의 시대, 문해력 해결의 시점

역사상 최악의 문해력 세대
해결 방안을 찾아보자

2022년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의 문해력 향상을 위해 개선 방안을 내놓았는데
"한글 해독 및 익힘 시간 확대, 국어 34시간 증배"
초등 학생들의 심각해진 문해력을 교육 시간으로 접근하는 방안을 정했다.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
고교 학점제란?
학생이 적성과 진로에 따라 자기 주도적으로 과목을 선택하고, 공통, 선택 과목에서 총 192학점을 취득하면 졸업하는 제도
쉽게 말해 현행 대학의 학점 이수 과정이랑 유사하다고 보면 된다.
1학년 공통과목, 2~2학년 선택과목 (일반, 융합, 진로)

25학년도 입학생부터 공통 과목은 성취평가제와 석차등급제 병행
선택과목은 성취평가제 : 상대평가가 반영되는 1학년 성적 입시 전형에서 주요한 판단 기준
절대평가가 이뤄지는 2,3학년 내신 성적 입시 전형에 반영 확률 희박
이제 부터는 고등학교 1학년 부터 집중 해야 합니다.


수능 국어 만점자는 수학 만점자의 10% 밖에 되지 않습니다.
그 만큼 최상위로 올라갈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국어 입니다.

답은 문해력!
"문해력" 학습의 도구인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
미래 핵심 역량으로 주목하고 있는 문해력
초등학교 3학년에 뒤처진 문해력이 고등학교 3학년 까지 지속될 확률 74%

혼공과 문해력의 마스터를 위한 '매일 국어'

꾸준히 쌓인 매일 국어 토대는
아이의 마지막까지 이어집니다.
송도 매일 국어로 연락 주세요.
우리 아이 공부 독립 도우미가 되어 드리겠습니다.
